탄소저감과 중국...중국 의존도가 높은 부직포시장에 대한 대안 마련에 관심 필요
페이지 정보
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50회 작성일 22-12-23 10:43본문
각국이 탄소저감에 갈수록 관심이 높아질 겁니다.
탄소국경세 등 유럽은 시행을 앞당긴다는 뉴스가 있습니다.
친환경 소재 등 관심이 더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입니다.
코로나로 인한 부직포 파동이 있었던 과거 경험사례가 있는 기저귀 산업은
전세계 최고의 탄소배출국인 중국의 탄소저감에 예의주시하며 관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.
방역용 등 부직포가 수요가 다양해진 만큼 자체기술 확보 및 제조 수급에 관심을 가지고 필요시 원부자재 공동구매 및
소재 수입 다변화 등 다양한 대안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.
첨부파일
- 방역용섬유소재산업동향.pdf (1.0M) 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12-23 10:43:01
- 부직포소재산업의기술혁신과미래전망.pdf (3.7M) 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12-23 10:43:01
- 세경포 22-02_중국의 탄소중립 정책 주요 내용 및 전망.pdf (652.0K) 0회 다운로드 | DATE : 2022-12-23 10:43:01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